협회 소개
인사말
설립취지문
연혁
협회조직도
함께하는 사람들
회원사
오시는길
커뮤니티
행사안내
언론보도
협회소식
자료실
세미나자료
유관단체뉴스
법령 자료실
게시판
공지사항
문의게시판
회원가입
후원안내
로그인
회원가입
협회 소개
인사말
설립취지문
연혁
협회조직도
함께하는 사람들
회원사
오시는길
커뮤니티
행사안내
언론보도
협회소식
자료실
세미나자료
유관단체뉴스
법령 자료실
게시판
공지사항
문의게시판
회원가입
후원안내
로그인
회원가입
통합 검색
통합 검색
공지사항
최신순
등록순
조회순
댓글순
글로벌 공급망 위기, 한반도 자원 협력이 해법 될까
글로벌 공급망 위기, 한반도 자원 협력이 해법 될까기자명 송승온 기자 입력 2025.09.18 15:52 수정 2025.09.18 15:53 (사)에너지안보환경협회, 제15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 개최제재 속에서도 인도적 교류·기술 협력 등 단계적 접근 필요성 제기산업 경쟁력·에너지 안보·동북아 평화까지 아우르는 협력 모델 강조북한 최소 7곳 석유 유망 분지 보유, 한반도 에너지 지도 바꿀 수 있어 [에너지플랫폼뉴스 송승온 기자] 북한 자원은 단순한 개발 이슈를 넘어 한반도 에너지 안보와 산업 경쟁력의 열쇠가 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됐다.(사)에너지안보환경협회(회장 이웅혁, 건국대 교수)는 18일 협회 회의실에서 제15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개최했다.이날 토론회에서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권이균 원장이 ‘한국의 에너지-자원안보 강화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 고찰: 북한의 자원개발 현황과 잠재성’을 주제로 발표했다. 행사에는 북한 전문가, 에너지·안보 전문가, 법조인, 외신
관리자
2025.09.23
조회수16
북한 풍부한 자원 매장량 vs 국제 제재와 ‘딜레마’
북한 풍부한 자원 매장량 vs 국제 제재와 ‘딜레마’기자명 우범식 기자 입력 2025.09.20 10:39 에너지안보환경협회, 18일 ‘제15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 개최권이균 지질자원硏 원장 ‘북한의 자원개발 현황과 잠재성’ 발제글로벌 공급망 위기, 한반도 내부 해법으로 가능할까? 전문가 논의북, ‘적대적 2국가론’ 자원개발 협력,기회의 창인가 또 다른 덫인가 (사)에너지안보환경협회(회장 이웅혁, 건국대 교수)는 18일 오후 2시 협회 회의실에서 제15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개최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권이균 원장이 ‘한국의 에너지-자원안보 강화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 고찰: 북한의 자원개발 현황과 잠재성’을 주제로 발제해,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번 콜로키엄은 국제 에너지 시장의 불안정성과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의 에너지·자원 안보를 어떻게 강화할 것인지 그리고 북한 자원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을지를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특히 북한이 최근
관리자
2025.09.22
조회수19
“北 에너지 잠재력, 한국에겐 기회…남북 자원 협력 추진해야”
“北 에너지 잠재력, 한국에겐 기회…남북 자원 협력 추진해야” 채상우 기자 입력 2025-09-19 10:36:08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에너지 시장 불안정이 국제적 안건으로 떠오른 가운데, 북한의 자원을 한국의 에너지 안보 대안으로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8일 에너지안보환경협회는 서울에서 제15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열고 북한 자원의 잠재력과 한반도 자원 협력의 전략적 의미를 논의했다. 이웅혁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희토류, 리튬, 코발트 등 전략 광물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한국의 금속광 자급률은 1%에도 미치지 못한다. 희토류는 사실상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안정적 공급망 확보는 국가 생존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은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도 고립과 제재 속에 잠재력으로만 남아 있다. 그러나 이 역설이 한국에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 자원이 국제 가치사슬에 편입될 경우 한국은 가장 가까운 공급망을 확보해 글로벌 위기 속
관리자
2025.09.22
조회수13
“에너지안보·환경 통합할 ‘융합 싱크탱크’ 필요”
[창간특집 인터뷰] “에너지안보·환경 통합할 ‘융합 싱크탱크’ 필요” “기후위기와 지정학, 에너지 문제는 분리될 수 없어”원자력과 재생에너지의 균형, 과학 기반으로 풀어야과학 기반 공론장 통해 국민 수용성·정책 연계 도모 기자명윤철순 기자 입력 2025.09.22 07:30 수정 2025.09.22 07:48 에너지안보환경협회는 에너지·안보·환경을 하나의 통합 프레임으로 다루는 민간 싱크탱크다. 협회는 2022년 설립 이후 ‘융합형 정책 대응’을 지향하며 지정학과 기후정책, 산업 전략을 아우르는 대안 담론을 꾸준히 제시해 왔다. 본지는 이웅혁 회장을 만나 협회 설립 배경부터 서해 해양 안보 문제, 탄소중립 사회를 위한 에너지 수용성 확대, 나아가 대한민국의 전략적 대응 방향에 대한 견해를 들어봤다. /편집자 주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기후위기와 자원 무기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그리고 해양 안보의 위협까지. 지금의 에너지 문제는 기술 이나 산업의 영역을 넘어 국가 생존과
관리자
2025.09.22
조회수24
한반도 자원개발 협력 ‘새로운 전략적 구상 필요’
한반도 자원개발 협력 ‘새로운 전략적 구상 필요’기자명 유재준 기자 2025.09.19 08:50:00 수정 2025.09.22 07:50:10에너지안보환경협회 15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북한의 자원개발 현황과 잠재성 주제 논의 펼쳐[가스신문 = 유재준 기자]북한이 최근 대남 정책 기조를 ‘적대적 2국가론’으로 전환하고 국제사회 제재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남북 자원협력의 새로운 전략적 구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8일 (사)에너지안보환경협회(회장 이웅혁, 건국대 교수)는 제15차 에너지안보 콜로기엄을 개최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권이균 원장이 ‘한국의 에너지-자원안보 강화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 고찰: 북한의 자원개발 현황과 잠재성’에 대해 발표했다. 이웅혁 회장은 인사말에서 희토류, 리튬, 코발트 등 전략 광물의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나 한국의 금속광 자급률은 1%에도 미치지 못하고, 희토류는 사실상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하며, 안정적 공급망 확보가 국가 생
관리자
2025.09.22
조회수13
1
2
3
글로벌 공급망 위기, 한반도 자원 협력이 해법 될까
글로벌 공급망 위기, 한반도 자원 협력이 해법 될까기자명 송승온 기자 입력 2025.09.18 15:52 수정 2025.09.18 15:53 (사)에너지안보환경협회, 제15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 개최제재 속에서도 인도적 교류·기술 협력 등 단계적 접근 필요성 제기산업 경쟁력·에너지 안보·동북아 평화까지 아우르는 협력 모델 강조북한 최소 7곳 석유 유망 분지 보유, 한반도 에너지 지도 바꿀 수 있어 [에너지플랫폼뉴스 송승온 기자] 북한 자원은 단순한 개발 이슈를 넘어 한반도 에너지 안보와 산업 경쟁력의 열쇠가 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 제시됐다.(사)에너지안보환경협회(회장 이웅혁, 건국대 교수)는 18일 협회 회의실에서 제15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개최했다.이날 토론회에서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권이균 원장이 ‘한국의 에너지-자원안보 강화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 고찰: 북한의 자원개발 현황과 잠재성’을 주제로 발표했다. 행사에는 북한 전문가, 에너지·안보 전문가, 법조인, 외신
관리자(admin)
2025.09.23
조회수 16
북한 풍부한 자원 매장량 vs 국제 제재와 ‘딜레마’
북한 풍부한 자원 매장량 vs 국제 제재와 ‘딜레마’기자명 우범식 기자 입력 2025.09.20 10:39 에너지안보환경협회, 18일 ‘제15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 개최권이균 지질자원硏 원장 ‘북한의 자원개발 현황과 잠재성’ 발제글로벌 공급망 위기, 한반도 내부 해법으로 가능할까? 전문가 논의북, ‘적대적 2국가론’ 자원개발 협력,기회의 창인가 또 다른 덫인가 (사)에너지안보환경협회(회장 이웅혁, 건국대 교수)는 18일 오후 2시 협회 회의실에서 제15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개최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권이균 원장이 ‘한국의 에너지-자원안보 강화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 고찰: 북한의 자원개발 현황과 잠재성’을 주제로 발제해,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이번 콜로키엄은 국제 에너지 시장의 불안정성과 글로벌 공급망 위기가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의 에너지·자원 안보를 어떻게 강화할 것인지 그리고 북한 자원이 그 대안이 될 수 있을지를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특히 북한이 최근
관리자(admin)
2025.09.22
조회수 19
“北 에너지 잠재력, 한국에겐 기회…남북 자원 협력 추진해야”
“北 에너지 잠재력, 한국에겐 기회…남북 자원 협력 추진해야” 채상우 기자 입력 2025-09-19 10:36:08 [헤럴드경제=채상우 기자] 에너지 시장 불안정이 국제적 안건으로 떠오른 가운데, 북한의 자원을 한국의 에너지 안보 대안으로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18일 에너지안보환경협회는 서울에서 제15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을 열고 북한 자원의 잠재력과 한반도 자원 협력의 전략적 의미를 논의했다. 이웅혁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희토류, 리튬, 코발트 등 전략 광물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한국의 금속광 자급률은 1%에도 미치지 못한다. 희토류는 사실상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안정적 공급망 확보는 국가 생존의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북한은 풍부한 자원을 보유하고도 고립과 제재 속에 잠재력으로만 남아 있다. 그러나 이 역설이 한국에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 자원이 국제 가치사슬에 편입될 경우 한국은 가장 가까운 공급망을 확보해 글로벌 위기 속
관리자(admin)
2025.09.22
조회수 13
“에너지안보·환경 통합할 ‘융합 싱크탱크’ 필요”
[창간특집 인터뷰] “에너지안보·환경 통합할 ‘융합 싱크탱크’ 필요” “기후위기와 지정학, 에너지 문제는 분리될 수 없어”원자력과 재생에너지의 균형, 과학 기반으로 풀어야과학 기반 공론장 통해 국민 수용성·정책 연계 도모 기자명윤철순 기자 입력 2025.09.22 07:30 수정 2025.09.22 07:48 에너지안보환경협회는 에너지·안보·환경을 하나의 통합 프레임으로 다루는 민간 싱크탱크다. 협회는 2022년 설립 이후 ‘융합형 정책 대응’을 지향하며 지정학과 기후정책, 산업 전략을 아우르는 대안 담론을 꾸준히 제시해 왔다. 본지는 이웅혁 회장을 만나 협회 설립 배경부터 서해 해양 안보 문제, 탄소중립 사회를 위한 에너지 수용성 확대, 나아가 대한민국의 전략적 대응 방향에 대한 견해를 들어봤다. /편집자 주 [투데이에너지 윤철순 기자] “기후위기와 자원 무기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그리고 해양 안보의 위협까지. 지금의 에너지 문제는 기술 이나 산업의 영역을 넘어 국가 생존과
관리자(admin)
2025.09.22
조회수 24
한반도 자원개발 협력 ‘새로운 전략적 구상 필요’
한반도 자원개발 협력 ‘새로운 전략적 구상 필요’기자명 유재준 기자 2025.09.19 08:50:00 수정 2025.09.22 07:50:10에너지안보환경협회 15차 에너지안보 콜로키엄북한의 자원개발 현황과 잠재성 주제 논의 펼쳐[가스신문 = 유재준 기자]북한이 최근 대남 정책 기조를 ‘적대적 2국가론’으로 전환하고 국제사회 제재가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남북 자원협력의 새로운 전략적 구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 18일 (사)에너지안보환경협회(회장 이웅혁, 건국대 교수)는 제15차 에너지안보 콜로기엄을 개최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권이균 원장이 ‘한국의 에너지-자원안보 강화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 고찰: 북한의 자원개발 현황과 잠재성’에 대해 발표했다. 이웅혁 회장은 인사말에서 희토류, 리튬, 코발트 등 전략 광물의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나 한국의 금속광 자급률은 1%에도 미치지 못하고, 희토류는 사실상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하며, 안정적 공급망 확보가 국가 생
관리자(admin)
2025.09.22
조회수 13
더보기
로딩중..